일상이야기

RS바이러스 유행 정보: 증상부터 예방법까지 총정리

달빛엄마 2025. 4. 25. 07:34

 요즘 RS바이러스, 왜 이렇게 많이 퍼질까?

2025년 현재, 소아 감염병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어요.

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자료에 따르면, 소아 감염병이 늘어날 거라고 예측한 의료진이 무려 85%나 된다고 하더라고요.

그중 46%는 “증가폭이 20% 넘을 듯”이라며 더 걱정했답니다.

코로나 이후 방역 완화와 함께 독감, 백일해, 마이코플라즈마, 그리고 RS바이러스가 줄줄이 퍼지고 있어요.

 RS바이러스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?

RS바이러스(Respiratory Syncytial Virus)는 주로 늦가을부터 초봄 사이 유행하는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예요.

만 2세까지는 거의 모든 아이가 한 번쯤은 걸릴 정도로 감염력이 엄청 강하답니다.

성인은 감기처럼 가볍게 앓고 지나가지만,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어르신한테는 폐렴 같은 무서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요.

 주요 증상 한눈에 보기

- 잠복기: 보통 2~8일 (평균 5일) - 초기: 콧물, 코막힘, 목 따가움, 재채기, 발열 등 일반 감기 증상

- 중기: 기침이 심해지고, 쌕쌕거리는 소리 나는 호흡, 숨 가쁨

- 말기: 심하면 모세기관지염, 폐렴까지 번질 수 있음 특히 영유아는 호흡기 좁아서 금방 힘들어지니 조심 또 조심해야 해요.

 어떻게 감염되나?

- 비말 전파: 기침이나 재채기하면서 퍼짐

- 접촉 전파: 바이러스 묻은 물건 만진 뒤 얼굴 만지면 감염

- 생존력도 강함: 장난감, 수건, 테이블 위에서 몇 시간씩 살 수 있음

어린이집, 유치원, 산후조리원처럼 집단생활하는 공간은 전파 확률이 높아요.

 치료는 어떻게?

RS바이러스는 특별한 치료약이 없어요. 그래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 위주로 치료해요.

- 물 충분히 마시기 - 열나면 해열제 - 기침 심하면 기침약

- 심하면 산소치료나 흡입기 쓰기도 해요 특히 미숙아나 폐질환 있는 영유아는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.

 예방이 진짜 중요해요

1. 개인 위생

- 손 잘 씻기 - 눈, 코, 입 만지지 않기

- 감기 증상 있는 사람 피하기

2. 환경 위생

- 장난감, 문고리, 테이블 등 자주 닿는 곳 닦기

- 실내 공기 잘 환기하기

3. 백신과 예방제

- GSK의 ‘아렉스비’, 화이자의 ‘아브리스보’ 백신 출시

- 사노피/아스트라제네카 ‘베이포투스’라는 항체 치료제도 있음

- 독일은 아예 모든 신생아에게 접종 권고 중

4. 면역력 챙기기

- 잘 먹고

- 잘 자고

- 스트레스는 줄이고

- 금연, 절주까지 하면 금상첨화!

 의심 증상 있으면 꼭 병원 가자!

RS바이러스는 초기에 감기처럼 보여서 그냥 넘기기 쉬워요.

하지만 영유아나 고위험군이라면 빨리 병원 가서 진단받는 게 정말 중요해요.

의심 증상 있으면 미루지 말고 바로 진료받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