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아 예방접종 일정표와 꼭 맞춰야 하는 이유
“아기 예방접종 언제 해야 하지?”
생후 며칠만 지나도 종류가 너무 많아 헷갈리는 분들 많으시죠?
하지만 예방접종은 시기를 놓치면 감염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꼭 일정에 맞춰 진행해야 해요.
지금부터 유아 예방접종 일정표와 왜 지키는 게 중요한지, 하나씩 알려드릴게요!
보건당국에서 권장하는 예방접종 시기는 다음과 같아요:
- 출생 시: B형간염 1차
- 생후 4주 이내: BCG(결핵 예방)
- 1개월: B형간염 2차
- 2개월: DTaP, 폴리오, Hib, 폐렴구균, 로타바이러스
- 4개월: DTaP, 폴리오, Hib, 폐렴구균, 로타바이러스
- 6개월: B형간염 3차, DTaP, 폴리오, Hib, 폐렴구균, 로타바이러스
- 12~15개월: Hib, 폐렴구균, MMR, 수두
- 12~24개월: 일본뇌염, A형간염
- 15~18개월: DTaP 추가
- 만 4~6세: DTaP, 폴리오, MMR
- 만 11~12세: Tdap/Td, HPV(여아)
복잡해 보이지만 보건소나 소아과에서는 이 일정을 기준으로 접종을 안내해 주니 걱정 마세요.
1. ✅ 효과적인 면역력 형성
정해진 시기에 맞는 백신을 접종할 때 면역 효과가 가장 높아요.
백신은 아기 몸 안에 면역세포를 훈련시켜서 병원균을 이길 수 있게 도와줘요.
2. 🍼 초기 발달 시기 보호
생후 첫 해는 면역력이 약해 감염병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입니다.
이때 접종을 통해 아기를 먼저 보호해주는 게 핵심이에요.
3. ⚠️ 심각한 질병 예방
백일해, 디프테리아, 홍역 등은 아이에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요.
예방접종 하나만으로 이런 질병을 막을 수 있다면 당연히 챙겨야겠죠?
4. ⏰ 일정 지연 시 더 위험
접종을 미루면 면역 형성 전에 감염 위험이 커져요.
부득이하게 놓친 경우엔 병원과 상담해 ‘지연 일정’으로 다시 접종 받으면 됩니다.
5. 🛡️ 집단 면역 형성
내 아이뿐 아니라 주변 아이들을 지키는 방법이기도 해요.
충분한 예방접종률은 지역사회의 감염병 확산을 막아줍니다.
6. 💸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
국가에서 지원하는 예방접종은 대부분 무료예요.
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병원에서 접종하면 부담 없이 아기를 지킬 수 있어요.
7. 💉 여러 백신 동시 접종도 OK
여러 종류의 백신을 한 번에 맞아도 아기의 면역체계에 무리가 가지 않아요.
오히려 빠르게 면역력을 형성하는 데 더 효율적입니다.
걱정하지 마세요!
다시 처음부터 접종할 필요는 없고, 이전 접종기록을 기준으로 지연 접종 일정에 따라 이어서 맞추면 됩니다.
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하면 가장 적절한 방법을 알려줄 거예요.
🔍 마무리 요약
예방접종은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‘최전선’이에요.
정해진 시기에 맞춰 접종하면 질병 예방 효과는 물론, 지역사회 전체를 지키는 역할도 합니다.
혹시 놓쳤더라도 당황하지 말고, 의료진과 함께 안전하게 계획을 세워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