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이야기

BCG 접종, 도장형 vs 주사형 뭐가 다를까?

달빛엄마 2025. 4. 20. 14:25

 

🟦 1. 접종 방법부터 다르다!

  • 피내용 (주사형):
    어깨 피부에 백신을 주사기로 넣어요.
    피부가 5~7mm 정도 볼록 올라와요.
  • 경피용 (도장형):
    백신액을 피부에 바르고
    9개의 바늘이 달린 기구로 2번 ‘꾹꾹’ 도장 찍듯 눌러요.
    총 18개의 자국이 남습니다!
  •  


🟩 2. 통증과 흉터 차이 있어요

  • 피내용:
    통증이 꽤 있는 편이고,
    흉터도 1~2cm로 크고 선명하게 남을 수 있어요.
  • 경피용:
    통증이 덜하고,
    흉터도 작고(0.5~1cm), 거의 안 보이기도 해요.

🟨 3. 비용과 장소 차이도 큽니다

  • 피내용:
    국가에서 무료 지원!
    주로 보건소에서 맞아요.
  • 경피용:
    7~8만원 정도 비용 발생.
    소아과나 병원에서 접종 가능해요.
  •  


🟧 4. 정확도, 어떤 게 더 좋을까?

  • 피내용:
    정확한 양을 주사기로 측정할 수 있어요.
    하지만 아기가 움직이면 실패할 수도 😅
  • 경피용:
    도장처럼 누르는 방식이라
    의료진 실력에 따라 흡수량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.
    👉 하지만 효과 차이는 없다는 게 정설!

🟫 5. 접종 효과, 둘 다 OK!

  • 실제 임상시험 결과,
    두 방식 모두 결핵 예방 효과는 동일했어요.
  • WHO도 현재는 특정 방식을 추천하지 않아요.

🟪 6. 부작용은 누가 더 적을까?

  • 피내용:
    국소 염증이나 부작용 가능성이 조금 더 높음.
  • 경피용:
    이상 반응이 상대적으로 적어요.

🟦 7. 접종 시기도 차이가 있어요

  • 피내용:
    1앰플로 10명 분량이라
    정해진 날짜에 ‘모아서’ 맞춰야 해요.
  • 경피용:
    1회용이라
    병원만 가면 언제든 접종 가능!

🟩 8. 우리나라 현황은?

  • 예전엔 경피용 접종자가 더 많았지만,
    최근엔 피내용 접종 비율이 늘어나는 중!
  • 피내용 백신 수급이 어려울 땐
    경피용으로 대체되기도 해요.

결론! 무엇을 선택하든 결핵 예방엔 문제 없음!

  • 흉터 걱정되면 → 경피용
  • 정확한 주입 & 비용 고려하면 → 피내용

접종 장소, 의료진 숙련도, 아이 상태에 따라
부모님이 편하게 선택하시면 됩니다! 😊